News
11월 25, 2024
2024년, dsm-firmenich(구 DSM)가 한국영양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에 참석하여 뇌 건강에 도움을 주는 영양소와 이를 통해 건강한 노년을 보내는 방법을 공유했습니다.
*건강수명: 기대수명에서 유병기간을 제외한 수명
“We Bring Progress to Life
영국산 비타민 C 대표기업 DSM이 dsm-firmenich로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dsm-firmenich의 향기로운 영양 솔루션에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지난 10월 18일, 서울 드래곤시티에서 ‘Nourishing Longevity: Integrating Nutrition into Strategies for Healthy Aging (건강한 노화를 위한 영양 전략)’을 주제로 2024 KNS 한국영양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및 정기총회가 열렸습니다. dsm-firmenich는 '뇌 건강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원료에 대한 최신 연구(The updated Science of Functional Ingredients in Brain Health)' 세선에 연사로 참여했는데요. 세션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습니다.
● 케민(Kemin) APAC 대표 및 일본 건강기능식품협회 의장, 마사후미 하시모토(Masafumi Hashimoto)
- Nourish your brain with lutein and zeaxanthin (루테인 지아잔틴으로 관리하는 뇌 건강)
● dsm-firmenich APAC 학술연구팀 연구원, 스테파니 베이커(Stephanie Baker)
- Importance of cognitive health functions for extending healthspan (건강수명 연장에 있어 인지 건강 기능의 중요성)
● 바이오푸드CRO, 정세원 박사
- Health functional ingredients and cognitive function: focusing on trends in human intervention studies (건강기능식품 원료와 인지 기능: 인간 대상 연구 트렌드를 중심으로)
케민(Kemin) APAC 대표 및 일본 건강기능식품협회 의장, 마사후미 하시모토(Masafumi Hashimoto)
Kemin Japan의 마사후미 하시모토(Masafumi Hashimoto) 영업 총괄 이사는 루테인 지아잔틴으로 관리하는 뇌 건강 (Nourish your brain with lutein and zeaxanthin)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하시모토 이사의 발표에 따르면, 우리 눈과 뇌는 아래와 같은 공통점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루테인 지아잔틴이 눈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여러 번 소개해 드렸는데요. 루테인 지아잔틴이 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듯, 눈과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는 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합니다.
루테인 지아잔틴이 뇌 구조 및 기능에 미치는 긍정적인 측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시모토 이사는 루테인과 지아잔틴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이 뇌의 인지기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한편 루테인은 학계가 주목하는 주요 카르티노이드 중 하나로 기존 연구는 물론 최신 연구에서도 꾸준히 언급되고 있다고 합니다. 루테인이 뇌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는 영양소임을 여러 연구에서 증명되고 있음을 강조하며 발표를 마무리했습니다.
dsm-firmenich APAC 학술연구팀 연구원, 스테파니 베이커(Stephanie Baker)
이어서 발표를 진행한 dsm-firmenich APAC STA(Science Translation & Advocacy,학술연구팀) 스테파니 베이커(Stephanie Baker)는 ‘건강수명 연장에 있어 인지 건강 기능의 중요성 (Importance of cognitive health functions for extending healthspan)’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한국의 경우 기대 수명과 건강 수명이 약 10.2년 정도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즉, 남은 생의 10.2년을 건강하지 않은 상태로 보내게 되는 것입니다.
베이커 연구원은 치매와 같은 인지 기능 저하 문제의 증가를 언급하며, 인지 기능 개선이 건강 수명 연장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다양한 영양소가 인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했습니다.
지난 10년간 진행된 7건의 연구를 메타 분석한 결과,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를 통해 측정한 인지 능력 평가에서, 오메가-3 보충이 경증 인지 장애를 겪는 노인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8
또한 2010년 유코-마우로(Yurko-Mauro) 연구팀이 진행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경미한 기억 장애를 가지고 있는 노인들에게 미세조류 식물성 오메가-3를 매일 900mg씩 섭취하게 한 결과 일시적 기억력과 학습 능력이 개선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24주 후 혈중 DHA 수치를 확인한 결과, DHA 수치와 인지 변화 간의 상관관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9
44명의 건강한 노인에게 12개월 동안 FloraGLO® 루테인10mg과 지아잔틴 2mg을 보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합니다. 10
- FloraGLO® 루테인을 섭취한 그룹은 위약 그룹에 비해 언어 학습 과제에 있어 더 나은 성과를 보임.
- FloraGLO® 루테인을 섭취한 그룹은 뇌의 감정관리 영역(전전두피질)과 집중력을 관리(전방대상피질)하는 영역이 활성화 되는 모습을 보임. 위약 그룹에서는 활성화가 관측되지 않음
*전전두피질: 감정을 관장하는 도파민 시스템과 관련된 영역으로 자신을 인식하고 행동을 계획하며 불필요한 행동을 억제하면서 문재해결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의사결정을 하는 등의 기능을 함.11
**전방대상피질: 편도체로부터 정보를 받아 필요한 반응을 지시하고, 감정이나 고통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영역. 이 부위가 줄어들면 주의가 쉽게 산만해져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음.12
베이커 연구원은 사후 치료가 아닌 사전 예방적 접근을 통해 인지기능 문제 관리가 필요함을 강조했습니다. 오메가-3 지방산, 루테인과 지아잔틴 그리고 비타민과 같은 미량 영양소 섭취를 통해 뇌 건강을 잘 챙기시면 좋겠습니다.
바이오푸드CRO, 정세원 박사
마지막으로 발표를 진행한 바이오푸드CRO 정세원 박사는 ‘Health functional ingredients and cognitive function: focusing on trends in human intervention studies (건강기능식품 원료와 인지 기능: 인간 대상 연구 트렌드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최근 인지 건강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증가하면서 관련 시장도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030년에는 뇌 관련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가 147억 5,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미국에서 진행된 설문조사에 따르면, 노년층의 약 23%가 뇌 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이미 섭취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뇌 건강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건강 이슈로 떠오르고 있음을 잘 보여줍니다.
뇌 건강에 문제가 발생하면 사회에 큰 경제적 부담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를 치료하는 것보다 예방적 관리를 통해 건강을 지키는 것이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유익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정세원 박사는 인지 기능 관련 산업과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해 소개하며, 인지 기능을 측정하는 데 활용되는 바이오마커와 같은 다양한 접근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특히, 최신 메타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폴리페놀, 루테인, 프로바이오틱스 등 인지 건강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원료에 대해 소개하며 발표를 마무리했습니다.
오늘은 dsm-firmenich가 참가한 2024년 한국영양학회에서 인지기능 관리를 위한 적절한 영양소 섭취의 필요성과 연구 현황을 살펴보았습니다. 독서와 글쓰기 뿐만 아니라 나에게 필요한 미량 영양소 섭취를 통해 뇌를 건강하게 관리하시면 좋겠습니다.
고령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인지기능 건강 문제에 직면한 오늘날, 적절한 영양관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데요. dsm-firmenich는 한국 소비자에게 최적화된 영양 솔루션 개발에 힘쓰는 dsm-firmenich는 개인 맞춤형 영양 솔루션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헬시에이징(건강한 노화, 웰에이징)을 위한 과학적으로 입증된 뇌 건강 기능성 원료 개발에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 Ohno-Matsui K. Prog Retin Eye Res. 2011; 3(4):217-238
2. Ohno-Matsui K. Prog Retin Eye Res. 2011; 3(4):217-238
3. Kaarniranta K. et al. J Alzheimers Dis. 2011; 24:615-631
4. Vishwanathan R. et al Nutr Neurosci. 2013 Jan;16(1):21-9
5. Johnson EJ. et al. J. Aging Res. 2013:951786
6. Widomska J ey al. Foods. 2016. Jan 12;;5 (1)
7. Johnson EJ. et al. J. Aging Res. 2013; 2013:9517
8. Zhang et al. Eur J Clin Nutr (2020) 74:548–554 10.1038/s41430-019-0544-4; 2. Yurko-Mauro et al. Alzheimers Dement 2010 6(6):456–4 10.1016/j.jalz.2010.01.013
9. (Karin Yurko-Mauro, 2010)
10.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2017), 23, 1–14).
11.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body/bodyDetail.do?bodyId=148
12.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7/26/2024072602119.html